Surprise Me!

[차이나워치] 왕이 "우크라 휴전이 급선무"…중국, 중재 나서나

2022-09-23 2 Dailymotion

[차이나워치] 왕이 "우크라 휴전이 급선무"…중국, 중재 나서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꼬박 7개월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호적이었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전쟁 장기화에, 최근에는 거리두기를 하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베이징을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<br /><br />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이 "휴전이 급선무"라는 말을 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유엔총회 참석차 방문한 미국 뉴욕에서 한 말입니다.<br /><br />왕 부장은 현지시간 21일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 외교·안보정책 고위대표와 가진 회담에서 "우크라이나 상황이 확대·장기화 추세를 보이고 있고, 부정적 파급효과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은 중국이 보고 싶지 않은 일"이라고 했습니다.<br /><br />"중국은 수수방관하거나 불에 기름을 붓지 않고, 자신의 방식으로 역할을 할 것"이라고 덧붙였는데요.<br /><br />같은 날 폴란드 외교장관과 회담에서도 "위기가 확대되고 장기화하는 것은 모든 당사자의 이익이 아니다"라면서 "빨리 전쟁이 진정되고 평화 회담이 재개되길 바란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앞서 정례브리핑을 통해서도 휴전을 촉구했는데요.<br /><br />그동안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소극적 태도를 보여 온 중국이 본격적인 중재자 역할에 나설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되고 명확합니다. 관련 당사자들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휴전을 달성하고, 가능한 빨리 모든 당사자들이 해결책을 찾을 것을 촉구합니다. 국제사회가 이러한 조건과 공간을 조성하기를 희망합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만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도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왕이 부장은 유엔총회를 계기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을 만난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미국 국무부는 블링컨 장관과 왕이 부장이 다양한 양자 및 국제 현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8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만 방어와 관련된 발언을 한 뒤 첫 만남이라는 점에서 관련 논의가 주로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초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중국 군용기가 사실상 경계선인 대만해협 중간선을 침입하는 것을 상시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'하나의 중국' 정책을 이행하지 않고 현상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는 판단입니다.<br /><br />반대로 미국은 미국 측 인사들의 대만 방문을 핑계로 오히려 중국이 현상 변경을 하려 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이번 회담을 통해 양측의 긴장을 해소하는 방안과 함께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대책 등도 논의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한편, 앞서 전해드린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도 논의 의제이고요.<br /><br />미중 정상 간 회담 일정도 조율할 것으로 보이는데,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지난 7월 말 전화통화에서 첫 대면 회담을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중 정상회담은 언제쯤으로 예상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1월 취임한 이후 두 정상의 대면 만남은 아직 한 번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전화와 화상으로만 소통해 왔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11월에 열리는 주요20개국,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만날 뜻이 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G20 정상회의는 11월 15일부터 이틀간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중간선거 다음 주인 동시에 중국 공산당 20차 당대회가 끝난 뒤입니다.<br /><br />두 정상 모두 중요한 국내 정치 일정을 모두 매듭 짓고 만나는 자리인 만큼, 극단으로 치닫는 양국 갈등도 다소 해소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시 주석은 지난주 상하이협력기구 SCO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면 정상회담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직접 언급을 피하고, 미국을 향한 비판을 자제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미국 상원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만정책법안의 입법 동향이 미중 정상회담 성사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인데요.<br /><br />미국이 대만을 사실상 동맹국으로 취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대만정책법안이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하자 중국은 강력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 "(대만정책법안은) '하나의 중국' 원칙과 중·미 3대 공동성명을 위반하고,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이며,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 준칙에도 위배되는 것입니다. 대만 독립·분열 세력에 심각하게 잘못된 신호를 보낸 것입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미국 하원에서도 중국이 발끈할 만 한 법안이 발의됐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하원의원들이 대만에 전쟁 대비 비축 물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법안은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경우 미국이 대만 방어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만에 전쟁 대비 물자를 비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우방국들에 무기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'특별방위획득기금'을 대만의 무기 조달을 위해 활용하는 내용도 법안에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잉여 방위 물자를 우선으로 대만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법안에 적시됐습니다.<br /><br />법안을 공동 발의한 공화당 소속의 스티브 섀벗 의원은 "침공이 시작된 뒤 무기를 전달하는 우크라이나 모델은 대만 방어에 통하지 않는다"고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현 미국 의회 임기가 끝나는 내년 1월까지 이 법안을 상·하원에서 각각 통과시킬 것을 요구했다고 대만 중앙통신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법안은 앞서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를 통과한 대만정책법안과 함께 미·중 관계의 갈등 요인 중 하나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편, 시진핑 주석이 집권 3기에는 대만을 겨냥한 새로운 통일 전술을 구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만의 저명한 중국 전문가의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자오춘산 담강대 대륙연구소 명예교수는 시 주석의 집권 3기에 대만이 통일과 독립 사이에서 현상 유지를 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질 것이라면서 한 말입니다.<br /><br />대만은 독립이나 통일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 현상 유지 정책을 국민...

Buy Now on CodeCanyon